이번 글에서는 로블록스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weld에 관한 내용을 다뤄볼 예정이다. weld, surface weld, manual weld, weld constrant 등 weld에 관련된 것들은 다양하고 또 헷갈린다. 위에서 언급한 것에 대한 차이점들을 하나씩 살펴보자.
Surface Weld
단순히 표면을 두꺼운 대각선 "X"로 표시한다. 따라서 용접(weld)과는 크게 관련이 없고 단순히 표면의 텍스처를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Weld Constraint
Weld Constraint는 가장 최근에 나온 Weld 타입이다.
Weld Constraint의 사용법은 여러가지인데, 그 중 가장 간단한 방법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우선 Workspace에 Part를 2개 생성해준다.
그리고 용접을 원하는 Part 밑에 WeldConstraint를 생성해준다.
그 다음 WeldConstraint의 Part0 속성에는 자기 자신을, Part1 속성에는 용접하려고 하는 Part를 선택해준다. 그러면 Part0과 Part1에 할당해준 Part들이 서로 용접된 상태가 된다.
WeldConstraint를 생성하는 다음 방법도 알아보자.
우선, 스튜디오 오른쪽 상단에 있는 Create버튼 오른쪽의 아래화살표를 누른다.
화살표를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보일 것이다.
메뉴 중, Weld를 선택한다.
그 다음, 용접을 원하는 첫번째 파트를 선택한다. Part를 선택하게 되면 빨간 선이 하나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용접을 원하는 두번째 파트를 선택한다. 그러면 왼쪽의 이미지와 같이 서로 용접된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여러 Part를 용접하는 법을 알아보자. 아주 간단하다.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모양의 Part를 아무렇게나 배치해보자.
이제 이 Part들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한번에 선택한 후 오른쪽 상단의 Create 버튼을 클릭해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모든 Part가 용접이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여러개의 Part를 한번에 용접할 경우에는 Part끼리 접촉해 있어야 된다. 만약 떨어져 있는 Part가 있다면 해당 Part는 용접이 되지 않는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ua 프로그래밍 기초 문법 (0) | 2021.04.13 |
---|---|
[Roblox] leaderboard (0) | 2021.04.09 |
[Roblox] Instance (1) | 2021.04.08 |
[Roblox] built-in function (0) | 2021.04.08 |
댓글